[Daily IT News] 자연어 처리, KAMP, DaaS, NFT, 자기중심인식AI, 메타버스

일년의 4분기를 지나고 있는 지금 올해를 돌아보면 가장 핫한 기술은 메타버스와 AI 기술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 큰 카테고리 안에서 세부적인 기술들이 파생적으로 융합되고 있는데, 그런점을 좀 눈여겨 봐야 할 것 같습니다.

2021.10.25.월  IT Trends 입니다.

 전자신문

토픽 헤드라인 내용




(AI)
자연어처리



게임체인저가 될 자연어처리 능력 >> 자연어처리는 컴퓨터와 인간 언어 사이의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기계가 인간과 직접 소통하기 위해서는 자연어 분석, 자연어 이해, 자연어 생성 등의 기술이 요구된다. 먼저 자연어 분석과 자연어 이해 관련 기술은 사람이 말하거나 작성한 내용을 기계가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다.

>> 자연어처리는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말과 글을 있는 그대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들은 많은 경우 압축, 축약된 형태로 기술된다. “너 어제 그거 제출했어?” “결국 그 친구랑 하기로 했니?”와 같은 말들을 우리는 즐겨 사용한다. 이러한 대화는 해당 내용이 무엇을 지칭하는지 익히 알고 있거나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사람과 대화에서는 전혀 소통에 문제가 없다. 하지만 컴퓨터는 상황이 다르다. 엑셀 등과 같은 기존 프로그램에 저와 같은 방식으로 연산을 요구하면 아무것도 수행하지 못한다. 최근 대두되는 자연어처리 능력은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언어 그 자체만으로도 기계와 소통할 수 있는 경지를 지향하는 기술이다.

>> 최근 코로나19 이후 우리 주변에서 흔히 목격하게 되는 물건 중 하나가 키오스크다. 과거 사람이 수행하던 주문 등을 키오스크 앞에서 일일이 버튼을 눌러 주문하는 경우가 일상이 됐다. 머지않아 키오스크와 대화를 통해 주문할 날도 멀지 않은 듯하다.
(SV)
KAMP

중기부, 'K-인공지능 제조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개최 >> 중기부는 지난해 12월 AI 중소벤처 제조플랫폼(이하 KAMP)을 구축해 중소 제조기업의 데이터와 AI 활용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에 AI 학습에 최적화된 데이터셋을 제조설비, 공정별로 12종 구축하고 'KAMP 포털'을 통해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공개했다. 지금까지 다운로드 1만800건을 기록했다.
(SV)
DaaS,
메타버스

틸론, DaaS로 메타버스 환경에서 디지털 환경 구현 주도 >> 회사는 메타버스 내부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는 것은 가상세계에서 '가상화된 소프트웨어'를 불러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가상세계를 구현하기 위해 현재 DaaS를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안 중 하나로 지목했다.

>> DaaS는 데스크톱가상화(VDI)를 클라우드로 구현해 시간, 장소, 디바이스 제약 없이 가상의 데스크톱을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다. 메타버스가 가상세계 개념을 기본으로 하고 있듯이 DaaS 역시 가상화 기술로서 터미널 프로토콜을 근간으로 데이터를 통신, 가상 세계 구현을 위한 최적 솔루션이란 설명이다.

>> 최백준 틸론 대표는 “DaaS를 활용하면 메타버스 내에서 신속하게 현실 세계의 사용자 환경을 그대로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스마트 기기에서도 고성능 PC의 컴퓨팅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이어 “메타버스 발전과 함께 3D·4D 기반의 홈페이지와 서비스도 확대되고 5G·6G 통신망 보편화로 확장현실(XR) 환경이 새로운 사용자 통신환경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향후 DaaS의 활용과 역할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

[참고자료] 인공지능 중소벤처 플랫폼(KAMP)

https://www.kamp-ai.kr/front/intro/intro.jsp

 

인공지능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

 

www.kamp-ai.kr

● 한국경제, 인공지능신문

토픽 헤드라인 내용
(SV)
NFT,
메타버스
'손' 잡은 네이버 제페토, 글로벌 메타버스로 간다 >> 네이버제트는 이번 투자를 통해 제페토의 다양한 서비스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먼저 현재 구상하고 있는 ‘대체불가능토큰(NFT)’ 기반 자체 경제생태계를 꾸리는 작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콘텐츠 원본 증서’로 불리는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토대로 디지털 콘텐츠의 원본을 불법 복제본과 구별할 수 있게 해준다. 다양한 아이템, 콘텐츠 등을 사고파는 제페토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AI)
자기중심적 인식
인공지능이 스스로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세상온다!...페이스북, AI 자기중심적 인식 프로젝트 '에고4D' 가동 >> 1인칭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하는 인공지능(AI)은 증강현실(AR) 안경과 가상현실(VR) 헤드셋 같은 기기가 스마트폰처럼 일상생활에서 유용해지면서 몰입적 경험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줄 수 있다.

>> 이러한 새로운 기술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AI가 흔히 자기중심적 인식이라고 불리는 1인칭 관점에서 인간처럼 세상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도록 학습돼야 된다. 그러나, 오늘날의 컴퓨터 비전(CV)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단지 그 행동의 구경꾼일 뿐인 3인칭 관점에서 포착되는 수백만 장의 사진과 비디오로부터 학습한다

>> 페이스북 AI는 인공지능이 자기중심적으로 인식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야심찬 장기 프로젝트인 '에고4D(Ego4D)'를 지난 14일 발표했다. 9개국 13개 대학과 2개 연구소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구성했으며, 700명이 넘는 참가자가 스스로의 일상생활을 하는 모습을 담은 2,200시간 이상의 1인칭 비디오를 특징으로 했다.

>> 페이스북 AI는 이 컨소시엄과 페이스북 리얼리티 랩스 리서치(FRL Research. 이하, FRLR)와 공동으로 향후, AI 비서를 위한 실제 애플리케이션으로의 발전을 촉진할 1인칭 시각 경험을 중심으로 5가지 벤치마크 과제를 개발했다.

Ego4D의 다섯 가지 벤치마크는 다음과 같다.

▷에피소드 기억: 언제 일어났습니까? (예, "내가 열쇠를 어디에 두었습니까?")

▷예측: 다음에는 무엇을 할 것 같습니까? (예, "잠깐, 당신은 이 레시피에 소금을 첨가했습니다")

▷손과 물체 조작: 나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예, "북 연주하는 법을 가르쳐 줘")

▷오디오-시각 분리 : 누가 언제 말 했는가? (예, "수업 중 주요 주제는 무엇이었습니까?")

▷사회적 상호작용: 누구와 상호작용하고 있는가? (예: "이 시끄러운 식당에서 말하는 사람의 소리를 더 잘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이러한 벤치마크를 통해 실제 세계뿐만 아니라 물리적 현실과 AR, VR이 한 공간에 모여 있는 메타버스(metaverse)에서도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스마트 AI 비서 개발에 필요한 빌딩블록 연구가 촉진될 전망이다.

[참고자료] "자율주행차 표준으로 신산업 열자"

https://www.etnews.com/20211022000143

 

[자율주행 표준 개발 특별좌담회] "자율주행차 표준으로 신산업 열자"

# 자율주행차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기술 개발에 속도가 붙으면서 세계 주요국들은 자율주행차 산업에 대응하기 위해 법·제도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함께 표준을 활

www.etnews.com


금일 데일리 트렌드 리뷰 중 눈여겨 보실 기사는 자연어처리 관련 기사입니다.
월 모의고사때도 그렇고, 자연어 처리에 대한 기술과 관련해서 많이 물어보는데요, GPT-3, 초거대 AI 등의 개념도 다 알고 있어야 하고 중요한 기술입니다. 그렇지만 조금 근본적인 측면에서 이해 했을때 다른 인공지능 기술도 많은데 이 기술이 화두가 되고 이슈가 되고 있을까라고 한번 즈음은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기사 같이 읽어보시기 바라겠습니다.

그리고 주목해야 할 점은 메타버스관련 기사입니다.
이 토픽은 너무 많이 들어 식상할 수 있는 토픽인데요, 그렇다면 메타버스의 개념적인 측면 외 실제 구현측면 생태계를 만들고 있는 부분을 조금 더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메타버스 내에서 가상화 SW를 구동 시키기 위해서는 DaaS와 같은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거래, 콘텐츠 부분에 있어서는 NFT와 같은 기술이 활용된다라는 것, 그리고 자기중심적인 인식 AI로 메타버스 내 객체를 구현할 수 있다라는 것을 세가지 기사에서 인지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율주행 표준과 관련하여 좌담회 기사 읽어 보셨으면 합니다. 세부 기술적측면, 정부 추진 방향등의 트렌드를 인지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