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5. 4. 17. 06:12

[데일리 IT 뉴스] 제 1차 저궤도 위성 R&D 과제, AI 에이전트 업무 자동화

저궤도 위성은 6G 의 핵심 기술로 생각이 되는데요, UAM 등의 다양한 모빌리티 산업을 확장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더 그런 것 같습니다. 최근 국가적인 측면에서 이런 부분에서 글로벌의 주도권을 가지고자 하는데요, 이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글로벌 전체가 그런거 같습니다. 그래서 테슬라도, 아마존도 이 저궤도 위성에 대해서 더 신경을 쓰고 있는 거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그 시작을 하는 거 같은데 이 배경을 기반으로 기사 보셨으면 합니다.

2025.04.17. (목) IT 신문 리뷰 입니다.

 


저궤도 위성 사업 (6G 연계 기술)

구분 전자신문
기사원문 보기
저궤도 위성통신 R&D 첫발

기사 원문
정부는 ‘제1차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3개의 신규 국가 연구개발(R&D) 과제를 선정하고 본격 착수했다.

과제는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예산 66억 원) ▲탐지·식별 및 위치추적 핵심기술 개발(66억7000만 원) ▲단말국 핵심기술 개발(1억5000만 원)이며, 총 134억2000만 원이 투입된다.

이번 사업은 6G 시대를 대비한 통신 기술 자립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조치로,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민간 투자 포함 총 32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통신 사각지대 해소와 미래 6G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으며, 표준 기반 기술 확보를 통해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도모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6G 표준화 논의에서 국내 기술 영향력을 높이고, 글로벌 위성통신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사 핵심

6G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

  • 정부가 '제1차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사업'을 본격 착수하며, 3개의 신규 R&D 과제를 시작함.
  • 317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며, 과제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탐지·식별 및 위치추적 기술 ▲단말국 핵심기술 개발로 구성됨.
  • 3GPP 6G 표준 기반으로 추진되며, 글로벌 위성통신 경쟁력 확보와 국내 기술 주도권 강화를 목표로 함.
  • 정부는 2030년까지 3200억 원 규모의 민관투자를 계획하고 있음.
  • 위성통신은 6G 시대 핵심 인프라로, 국내 기업들의 표준 선도 및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 마련이 기대됨.

 

AI 에이전트 업무 자동화

구분 한국경제
기사원문 보기
AI에이전트로 업무 자동화, 선택이 아니라 필수

기사원문 요약
삼성SDS는 제조업을 대상으로 열린 ‘인더스트리 데이’ 세미나에서 AI 기반 업무 초자동화를 기업 운영의 핵심으로 제시하며, AI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특히 브리티 코파일럿을 도입한 기업들은 회의록 작성 시간은 75%, 이메일 초안 작성 시간은 60% 이상 단축하는 성과를 냈다. 삼성SDS는 생성형 AI와 업무 시스템을 연결해 하이퍼오토메이션을 실현하고 있으며, 브리티 코파일럿은 제조, 건설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18만 명 이상이 사용 중이다.

이는 단순 반복 업무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업무 효율을 높이고, 미래 예측과 의사결정까지 지원하는 ‘인터랙티브 자동화’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AI 도입에 따른 보안 위협도 커지고 있어 삼성SDS는 외부망·설비·네트워크 등 취약지점을 보호하는 AI 기반 보안 솔루션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기사 핵심

AI 에이전트 업무 자동화

  • 삼성SDS, 제조업 대상 세미나에서 AI 기반 업무 초자동화 강조
  • 기업 A사, ‘브리티 코파일럿’ 도입으로
    • 회의록 작성 시간 75% 단축
    • 이메일 초안 작성 시간 60% 감소
  • 삼성SDS, AI 에이전트와 생성형 AI를 활용한 하이퍼오토메이션 추진
  • ‘브리티 코파일럿’, 국내 70여 개 기업 10만 명 사용 중 → 제조·건설 등 18만 명 이상 확산
  • 인터랙티브 자동화를 통해 의사결정 지원 및 생산성 제고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제조업 대상 랜섬웨어 공격 증가 언급 (전년 대비 35.9%↑)
  • 삼성SDS, AI 도입 시 발생할 보안 위협 대응 솔루션도 병행 제공

금일 더 주목해 봐야 할 기사는 AI 에이전트 업무 자동화 관련 기사입니다.

 최근 인공지능 시장에서 가장 부각이 되는 서비스가 바로 AI 에이전트가 아닌가 싶습니다. 등장하기도 하고 많은 통신사에서도 주도권을 잡기위해 서비스를 발굴하고 있는데요, 처음에는 간단히 명령만 내리면 정보를 제공하는 정도였다고 생각이 되는데 산업에서 이제는 없어서는 안되는 서비스가 되고 있는 거 같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산업에서는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눈여겨 보셨으면 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